오디즘에 대해 아시나요? 원어로는 Audism, 한국어로는 청능주의입니다. 듣을 수 있는 사람 즉, 청인이 우월하다고 믿고 농인에게 청인처럼 행동하라고 하는 것이 청능주의입니다. 결국 음성언어가 수화언어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이죠. 이 사회에서는 오디즘은 만연합니다.

카페에서 필담으로 주문하지만 점원은 계속 음성언어로 말하는 것.

병원에서 접수와 진료를 할 때 필담을 해주는 것을 귀찮아 하는 것.

입을 가리고 말하는 것을 맞춰보라고 하는 것.

자신은 음성언어를 할 수 있다고 으스대는 것.

농인에게 언어치료를 받게하는 것.

picture2.jpg

농인도 문화가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De’Via Devia deaf art를 검색해보세요 Devia deaf art라고 검색해도 좋습니다. 지금 당장은 인터넷 접속이 어려울테니 메모해뒀다가 나중에 검색해보아도 좋습니다. De'Via는 데비아라고 읽으면 됩니다.

De’Via는Deaf View/Image Art의 약자입니다. 모든 농인이 De'Via 작품을 만드는 건 아니지만, De'Via 예술가들은 모두 농인입니다. 일반적으로 예술은 미술, 음악, 무용, 연극 등이 있습니다. 농인들도 예술세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예술은 청인들만의 것이 아니며, 비장애인만의 것이 아닙니다.

농인들을 불쌍하게 보지 마세요.

우리는 우리만의 문화가 있습니다. 우리의 언어를 지우지 마세요

되돌아가기

Do you know about Audism? Believing that people who can hear are superior and telling deaf people to behave like hearing people is audiism - after all, spoken language is superior to sign language. In this society, audiism is rampant.

Ordering in handwriting at a cafe, but the cashier continues to speak in spoken language.

Not being bothered to take notes at the doctor's office during intake and appointments.

Cover your mouth and ask them to guess what you're saying.

Pride yourself on being able to speak a spoken language

Forcing speech therapy on the hearing impaired.

picture2.jpg

Deaf have culture.

Try searching the internet for De'Via Devia deaf art You can also search for Devia deaf art, but since you probably don't have internet access right now, you can make a note of it and look it up later.

De'Via is an acronym for Deaf View/Image Art. Not all Deaf people create De'Via art, but all De'Via artists are Deaf. In general, art can be fine art, music, dance, theater, and more. Deaf people are building the art world, too. Art is not just for Deaf people, and it's not just for people without disabilities.

Don't feel sorry for the deaf.

We have our own culture. Don't erase our language.

Return